오늘은 아프리카 대륙 북동부에 위치한 이집트 전통의상에 대하여 알아보겠다.
이집트는 북아프리카와 서아시아에 위치한 아랍 국가이자 지중해와 홍해의 연안국이다. 시나이 반도를 통해 가자 지구와 이스라엘을 접하며 중동으로 분류된다. 서쪽은 리비아, 남쪽은 수단, 북쪽은 지중해, 동쪽은 시나이 반도에서 접하고 있다. 수도는 카이로이다. 이집트의 지형은 국토면적에 의해 단순하다. 나일 강 하곡과 그 유역의 삼각주평야, 수에즈 운하 연안, 이들을 제외한 넓은 사막지대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기후는 나일강 계곡과 지중해 연안의 좁은 해안지방을 제외하면 전국이 건조한 사막기후이다. 내륙으로 갈수록 건조가 심해지고 높아진다. 서부나 남부 지방에는 수년간 비가 오지 않은 지역도 있다. 지중해 연안은 겨울에 약간의 비가 내리는 지중해성 기후를 나타내며 1년을 여름과 겨울 두계절로 나누고 있다. 4~10월은 기온은 높고 공기가 건조한 하계이고, 11~3월은 낮에는 덮고 밤에는 서늘한 동계이다. 또한 환절기에는 남쪽에서 저기압이 진행되어 모래를 동반한 열풍이 내습해 온다. 이것이 유명항 캄신이라는 바람이며 때로는 고온을 몰고 오는 남서의 열풍이다. 기온의 교차가 매우 심하고, 여름의 낮은 50도 이상으로 극단적인 고온 현상이 나타난다.
공용어는 아랍어이다. 그러나 이집트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아랍어는 교과서에서 배우는 표준 아랍어와는 좀 다르다. 아랍어를 많이 쓰는 나라라도 교과서에서 배우는 아랍어는 뉴스나 강의 등 공식적인 생활에서나 쓸 뿐이고 실제로는 아랍어에 현지 문법과 어휘가 많이 들어간 아랍어 방언을 쓰는데, 이집트 역시 그러하다. 따라서 단순한 아랍어 방언이 아닌 중국의 광둥어처럼 '이집트어'로 분류되기도 한다. 주요 외국어는 영어와 프랑스어이며 특히 영어는 대개 그럭저럭 통용된다고 한다. 최근 중국어도 중국인 관광객의 급증으로 배우는 경우가 많아졌다.
현대 이집트는 이슬람 문화의 중심지이자 동서양과 신구의 교차로로서 인류의 문명의 보고이다. 이집트 주민은 대부분은 코카서스 인종인 함 족에 속한다. 인구의 대부분은 고대 이집트 인의 혈통을 이어받은 콥트 인 및 누비아 인이며, 약 60%가 펠라라고 불리는 농민으로 구성된 농촌인구이다. 1964년에 헌법에서 이슬람교가 국교임을 명시하고 있는데 이슬람 문화의 기반으로서 더욱 강조한다. 국민의 90% 이상이 이슬람교도인데, 대부분이 수니파에 속하고 나머지는 콥트파의 그리스도교이다.
이집트는 나일강 유역에만 인구밀도가 유달리 높고 대부분 인구가 가늘고 길게 집중되어 있어서, 사람이 거의 살지 않는 사막지역을 제외하면 일본이나 칠레처럼 길쭉한 나라나 마찬가지이다. 경지면적당 일구민도는 일본에 이어 2위이나 인구증가율이 정체, 감소세인 일본과 달리 이집트는 꾸준히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어 조만간 일본을 제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집트의 땅 크기는 남한 면적의 10배가 넘어 큰 걱정은 없어 보이지만 이집트 땅 거의 전부가 사람이 살기 불가능하거나 아주 힘든 무더운 사막이다. 그 사막성 기후를 뺀 곳은 오스트리아 땅 면적과 비슷하다고 한다. 통계로만 1,000만 명이 넘게 모여사는 카이로의 인구밀도는 서울 보다도 높다. 사막을 개간하려는 계획도 있기는 하고 진짜 개간을 해서 녹지로 만들기도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어림도 없는 수준이라고 한다. 그래도 그 인구사 어디로 가는 것도 아니고 인프라도 나름대로 갖추어져 있어 아프리카 기준으로는 상당한 경제대국이다.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이집트 전통의상에 대하여 알아보자.
이집트의 의상은 수천 년 역사를 통해 약간씩 변해 왔으나 의상 소재만은 과거와 같이 직조되고 있다. 이집트의 주요 직물이 면은 의상에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먼저 여성의상에 대하여 알아보자. 사막의 시와 오아시스의 정교한 결혼복은 검은색 원피스의 둥근 목선과 가슴 앞부분에 여러 가지 색상의 실크를 이용해 햇살처럼 퍼져나가는 무늬로 수를 놓고 그 위에 진주 단추나 비즈로 장식한다. 또한 고대 이집트 태양의 신 아몬과 똑같은 디자인의 무늬가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축제 때는 많은 목걸이, 구슬, 체인, 귀걸이, 팔찌를 착용하며, 대지의 노예임을 상징하는 발찌도 사용한다. 사막 지대에서는 매우 정교한 머리 스타 일을 하며 헐렁한 검은 베일을 쓴다. 원래 검은색이 의상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지만 요즘은 붉은색, 푸른색, 녹색, 노란색, 흰색이 인기 있는 색상이다.
도시의 여자들은 요크에 주름을 잡거나 주름 없이 직선으로 재단된 매우 단순하고 헐렁한 의상을 착용한다. 여성들은 북아프리카에서 입는 망토와 비슷한, 머리부터 발끝까지 감싸는 검은색 토브를 작용하곤 했다. 발은 맨발이거나 가벼운 샌들을 신는다.
남성의상에 대하여 알아보자. 남성들에게는 갈리비 아라는 헐렁한 긴소매의 셔츠가 이슬람교의 도입과 함께 소개되었다. 면으로 된 이 의상은 색상이 다양하고 줄무늬이거나 무지인데 그중 흰색과 푸른색을 가장 많이 입는다. 흰색 면 셔츠는 헐렁한 바지와 함께 착용한다. 대개 갈라비아는 벨트 없이 입지만, 가끔 허리에 붉은색 새시를 맨다. 들에서 일할 때는 움직이기 편하도록 갈라비아를 헐리에 묶는다. 흰색 터번, 붉은색 터키식 모자, 꼭 맞는 스쿨캡 등은 헤드드레스로 가장 흔한 형태이다. 도시에서는 유럽풍 구두를 신지만 시골에서는 가벼운 샌들 또는 맨발로 다닌다.
지금까지 이집트 전통의상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세계전통의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로코 전통의상 알아보기 (1) | 2023.02.24 |
---|---|
튀니지 전통의상 알아보기 (0) | 2023.02.24 |
케냐 전통의상 알아보기 (0) | 2023.02.16 |
우즈베키스탄 전통의상 (1) | 2023.02.15 |
이라크 전통의상 알아보기 (0) | 2023.0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