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계전통의상

우즈베키스탄 전통의상

by 아사장 2023. 2. 15.

오늘은 우즈베키스탄 전통의상에 대하여 알아보자.

중앙아시아 중부에 위치한 나라인 우즈베키스탄은 동쪽으로 키르기스스탄과 타지키스탄, 남쪽으로는 아프가니스탄, 북쪽은 카자흐스탄, 남서쪽은 투르크메니스탄과 국경을 접하고 있다.

면적은 44만 7400km로 한반도의 두 배이며, 수도는 돌의 도시라는 의미의 타슈켄트이다.

국토의 사면이 육지로 바다와 접하는 지역이 없으며 지형이 대부분을 투란 저지와 키질쿰사막이 차지하고 있는데, 투린 저지대에는 염분이 많은 늪지 지호 동굴들이 산재한다. 동부와 남부에는 텐산, 알라이, 기사르 산맥이 있고, 그 사이에 페르가나, 앙그렌, 치르치크 등의 분지가 있다. 기후는 대륙적인 성격이 뚜렷하며 강우량이 적고 건조하고, 여름이 길고 따뜻한 반면 겨울은 짧고 가끔 된서리가 내린다.  우즈베키스탄에는 여러 강들이 존재하며 '섬들의 바다'라는 뜻을 가진 세계에서 4번째로 큰 호수인 아랄해가 존재한다.

1924년에 세워진 우즈베키스탄은 우즈벡이라고도 하며, 카라칼파크 자치공화국을 포함한다. 130여 개가 넘는 민족으로 이루어진 다민족 국가이며 우즈베크인이 80%로서 다수를 차지한다. 그 밖에는 모두가 소수 민족인데 러시아 인, 타지크 인, 칼라칼파크 인, 키르키츠 인, 타타르 인, 터키 인, 고려인 등이 있다. 또한 전체 인구는 2022년 기준으로 약 3,400만 명으로 소련의 구성국이던 중앙아시아 5개국 중 인구가 가장 많다.

 언어는 우즈베크어가 공용어이다. 하지만 역사적인 이유로 많은 소수 민족들이 살고 있는 우즈베키스탄이기 때문에 평등을 강조한 러시아와 소련의 영향으로 러시아어를 포함해서 중앙아시아 한국어, 카라칼파크어를 포함한 다양한 언어들이 쓰였다. 그러나 독립 이후엔 민족주의의 영향 때문에 다른 언어들의 사용이 상대적으로 줄고 있다고 한다.

대부분의 우즈베키스탄 사람들은 무슬림이다. 정교회 국가 러시아 제국에 이어 무신론만을 인정한 소련의 소속이었던 나라여서 세속 가치가 뿌리내린 데다 모든 종교에 관대한 유목민족 튀르크인이다 보니 전반적으로 우리가 상상하는 이슬람 국가들 보다는 매우 느슨하게 율법을 지키는 편이다. 술을 친구들과 마시거나 담배를 피우거나 돼지고기를 즐기는 등 이슬람에서 금기시하는 것들을 대부분 즐기는 등 자유롭다. 우즈베키스탄 국적의 러시아인들은 주로 러시아 정교회를 믿고 있다. 하지만 정부가 이슬람을 믿는 대다수 국민들을 달래기 위해 다른 종교가 눈에 띄는 활동을 하는 걸 의도적으로 막고 있어 종교 행사는 상당히 조용히 치르는 편이다. 특히, 정교회를 넘어 타 종교는 자국미에 대한 포교행위가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다. 우즈베키스탄은 이슬람인데도 불구하고 주말은 서양과 마찬가지로 토요일과 일요일이다. 이 동네에서는 금요일은 그냥 평일이다. 대신 크리스마스가 평일이며 한 해 마지막 공휴일은 12월 8일 제헌절이다.

우즈베키스탄은 세계적인 천연가스 매장국이자 산유국이다. 더불어 면화 생산도 세계적인 수준의 나라이며, 그밖에 망간, 몰리브데넘, 아연, 구리 같은 광물자원들도 엄청나다. 게다가 아직 개발되지 않은 곳도 많다. 덕분에 수출량의 자원이 비중을 많이 차지하며 현재는 경제성장률 7%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실업률도 매우 낮은 편이다.

이제 본격적으로 우즈베키스탄의 민속 의상을 알아보자.

 전체적인 우즈베키스탄은 전통의상은 유목민이 많은 지역은 낙타, 염소, 양의 털을 이용한 수직물과 견, 마를 이용한 수직물을 생산하였다고 한다. 대부분의 지역에 우지베크 인이 넓게 분포하여 생활하고 있으며 이들은 의상에 줄무늬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남녀 모두 챠판을 즐겨 입고 남성은 산악지대의 생활에 적합한 부츠를 신는다.

여성의상에 대하여 알아보자.

우즈베키스탄의 대표적인 여성의상은 앞이 트이지 않은 원피스나 셔츠이며 무늬는 붉은색, 황색, 녹생, 검은색 경사의 줄무늬이다. 원피스의 경우 허리를 묶지 않는데 이는 여성의 임신이나 출산에 필요하기 때문이며 노동복으로 현재도 입고 있다. 주로 실크소재이며 겉에 꽃무늬가 화려하게 수놓아진 조끼를 입기도 한다. 바지는 크고 헐렁한 형태이며 원피스의 색상과 동일한 무늬이다. 헤드드레스로는 머리에 꼭 맞으며 밝은 색으로 수놓아진 캡을 쓰거나, 실크나 순면 소재에 현란한 아라베스크 무늬가 있는 스카프를 삼각형으로 접어 머리 뒤쪽에 묶어 맨다. 주로 노란색 바탕에 붉은색, 초록색, 파란색 등이 현란하게 짜인 천이 가장 전통적이며 한 가지 색상이라도 넣어 무늬가 있는 것을 선호한다. 상류 가정의 여성들은 검고 굵게 양 눈썹을 이어서 일자 눈썹을 그린다.

우즈베키스탄 남성의상에 대하여 알아보자.

흰색 상의에 허리띠를 매며 긴 바지를 입고 부츠에 바짓단을 넣어 입는다. 여름에는 목둘레와 소매에 아름다운 무늬가 놓아진 상의를 입는데 손등까지 덮이는 긴소매에 길고 앞단이 트였으며 통이 조금 넓은 형태의 챠판을 입는다. 챠판의 색상은 짙은 회색, 세로 줄무늬나 기하학적인 무늬가 새겨진 검은색 등으로 다양하며 겨울에는 천을 두껍게 하여 입고 허리에 삼각형으로 접은 스카프를 맨다. 또한 겨울에는 추위를 막기 위해 남녀 모두 양모나 동물의 가죽으로 만든 옷을 입으며 사계절 남녀노소 모두 긴 가죽 장화를 신는다. 헤드드레스로는 사각형의 돔 모양에 흰색 실로 아라베스크 문양을 새긴 츄베테이카라는 모자를 쓰는데, 이것은 무슬림임을 상징하기도 한다.

지금까지 우즈베키스탄의 전통의상이었다.

'세계전통의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집트 전통의상  (0) 2023.02.21
케냐 전통의상 알아보기  (0) 2023.02.16
이라크 전통의상 알아보기  (0) 2023.02.14
레바논 전통의상 알아보기  (0) 2023.02.06
이란 전통의상  (0) 2023.02.0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