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계전통의상

이란 전통의상

by 아사장 2023. 2. 6.

 

오늘은 이란의 전통의상에 대하여 알아보자.

이란은 서아시아의 이슬람 공화국으로 수도는 테헤란이다. 정식 국호는 이란회교공화국 또는 이란 이슬람 공화국이다. 약칭 국호인 이란의 유래는 초기 인도유럽어의 '아리아'이다 따라서 이란은 문자적으로 '아리아인의 땅'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중동에 위치하며 서쪽은 티르키에 와 이라크, 남쪽은 페르시아 만, 동쪽은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북쪽은 카스피 해와 아제르바이잔, 아르메니아, 투르크메니스탄과 접해있다. 북부에 동서로 엘부르즈 산맥이 뻗어 있고, 북서부에서 낭동부로 자그로스 산맥이 뻗어 있는데, 이 두 습곡산맥 사이에 해발고도 1000~2000m의 이란 고원이 있으며 국토의 대부분이 이란 고원 위에 있다. 기후는 지역에 따라 다르며 고원부는 대륙성으로 건조하고 테헤란의 연 강수량은 약 208mm이며 7월의 습도는 약 25%이다. 비는 겨울에 주로 많이 내리며 여름에는 거의 내리지 않는다. 카스피 해 연안지방은 지중해성 기후를 나타내고, 페르시안 만 연안 저지는 강수량이 적으나 아라비아 반도에서 불어오는 열품의 영향으로 고온 다습하다. 북서부는 반건조지역에 속해 비교적 비가 많다.

 이란은 여러 민족으로 이루어진 다민족국가이다. 페르시아인이 약 50% 정도를 차지하며, 알제리인, 쿠르드인, 아랍인, 루르인, 발루치인, 투르크멘인 등이 살고 있다. 가장 숫자가 많은 소수민족인 아제르바이잔인은 투르크계로 사소한 민족 갈등이 있긴 하지만 심각한 사태로 비화한 적은 별로 없다. 언어는 인도유럽 어족의 페르시아어이며 문자로는 셈 어계의 아라비아 문자를 쓰고 있다. 이밖에 쿠르드 어, 발루치 어가 사용되며, 투르크계 주민들 사이에서는 투르크멘 어 알제리 어 등 투르크 어의 방언이 쓰이고, 아랍 인들 사이에서는 아라비아 어가 쓰이고 있다.

 이란 인구의 98%는 이슬람교도로 대부분 시아파를 신봉하며, 투르크멘족 발루치 족, 쿠르드 족 등은 수니파를 신봉하고 있다. 종교적 소수파로는 유대교도와 그리스도교도, 바흐이교도가 있다.

 그럼 이제 이란 전통의상에 대하여 알아보자.

이란에는 다민족 국가라 많은 부족들이 있으며 각 부족들마다 고유 의상을 가지고 있다. 이란의 전통의상의 특징은 더운 기후에서 입을 수 있도록 디자인이 단순하고 품이 넉넉하다는 것이다. 이슬람의 교리는 여성들에게 얼굴을 가릴 것을 요구하고 있다. 도시에서는 엄격하게 지켜지지 않지만 도시로부터 조금 멀리 떨어진 지방에서는 여전히 여성들이 차도르를 착용한다. 차도르는 머리를 감싸는 망토이다. 차도르를 머리 위에 쓰며 몸 주위를 늘어뜨려 다니며 필요할 때에는 얼굴을 감싸도록 당긴다. 페르시아 만을 따라 있는 남부자역과 다른 일부 지역에서는 얼굴에 마스크를 착용하기도 한다. 주로 면과 아마를 의상에 사용하며, 실크는 특별한 행사 때 입는 의상을 제작하는데 이용되었다.

이란 전통의상은 지역에 따라 테헤란, 에스파한, 시라즈, 기타로 나누어서 알아보자.

 먼저 테헤란 지역의 전통의상이다.

이 지역의 여성 의상은 매우 화려하고 대부분의 의상에 바지를 입으며, 풍성한 스커트와 바지 위에 입는 긴소매의 헐렁한 튜틱이 기본의상이다. 튜닉은 디자인이 매우 화려하고 다양하다. 풍성한 스커트와 화려한 라매직의 실크 블라우스를 입고 허리에는 새시를 감으며, 헤드드레스로는 금화 장식의 터키식 페즈를 쓰고 프린지 장식의 스카프나 금으로 짠 라매직의 베일을 쓴다. 테헤란 교외의 농촌지역은 비교적 수수한 소재의 바지나 스커트에 차도르를 두르고 다닌다.

다음은 에스파한 지역이다.

에스파한 지역의 남성의 의상은 풍성하고 넉넉한 사르와르 바지 위에 흰색 셔츠를 입는다. 셔츠의 소매와 가장자리를 밴드로 장식한다. 화려한 베스트를 그 위에 입으며 헤드드레스로는 노란 터번을 두르기도 한다. 많은 지역에서 헤드드레스로 터번을 쓰며 때때로 주름 잡힌 형태의 작은 페즈에 감아서 착용하고, 둥근 펠트로 된 스쿨캡과 모자를 함께 쓰기도 한다. 신발은 샌들로 캔버스나 가볍고 부드러운 가죽으로 만들어 신었다.

 시라즈 지역의 의상에 대해 알아보자.

시라즈 지역은 카쉬가의 족의 의상이 대표적이다. 카쉬가이 족은 유목민이며 이 지역 여성은 옆솔기에 허리까지 트임을 준 종아리나 무릎길이 정도의 헐렁하고 풍성한 튜닉을 입고, 튜닉 밑에는 풍성하고 긴 스커트와 바지를 입는다. 헤드드레스로는 주화나 구슬로 장식된 맞는 모자 위에 턱 아래까지 오는 긴 스카프를 드리운다. 터번은 모자를 대신하여 긴 천을 머리 주위에 늘어뜨리는데, 나이 든 여성은 검은색이나 어두운 색상을 착용한다. 이 지역 남성은 넉넉한 소매에 밑단이 종아리까지 오는 푸른색 줄무늬 카프탄을 입고 그 위에 넓은 새시를 맨다. 카프탄의 옆은 트여 있어 안에 어두운 색의 바지를 입는다. 부드러운 가죽 부츠를 신으며, 헤드드레스로는 옆날개가 있는 펠트 모자를 쓴다.

 마지막으로 기타 지역의 특징을 알아보겠다.

페르시아 만에 위치하고 있는 반다르 아바스 지역은 발목까지 오는 붉은색 또는 푸른색의 튜닉을 입고, 상의로는 줄무니가 있는 면 소재의 소매 없는 재킷을 입는다. 헤드드레스로는 긴 스카프를 목 주변을 지나 허리 주위에서 앞으로 맨다.

 테헤란 부근에 위치하고 있는 루리스탄 지역의 여성 의상으로는 헐렁한 무릎길이의 튜닉을 스커트 없이 바지와 같이 입는다.

소수 민족인 쿠라 족은 자신들의 부족 의상을 매우 자랑스럽게 보존하고 있다고 한다. 남성은 목에서 묶거나 앞이 트인 허벅지 길이의 재킷이 특징인데 매우 가늘고 푸른 줄무늬가 있는 푸른색이 가장 인기 있으며, 푸른색 소재는 누빈 것처럼 보이도록 정사각 무늬로 직조되었다.  

이처럼 이란에 전통의상에 대하여도 알아보았다. 다음포스팅에서 다른 나라의 전통의상에 대하여 다시 알아보자.

 

'세계전통의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라크 전통의상 알아보기  (0) 2023.02.14
레바논 전통의상 알아보기  (0) 2023.02.06
인도 전통의상  (1) 2023.01.30
티베트(Tibet) 전통의상 알아보기  (0) 2023.01.29
중국전통의상 알아보기  (1) 2023.01.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