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남부아시아에 위치한 인도 전통의상에 대해 알아보겠다.
인도는 서남아시아 인도양 연안에 위치하고 있다. 중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를 잇는 중간에 위치하며 동쪽은 미얀마, 중국 방글라데시를 둘러싸고 있으며, 서쪽은 파키스탄, 북쪽은 네팔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맞닿아 있다.
면적은 한반도의 약 열여섯 배로 약 329만 제곱킬로미터 정도이다. 인도는 네 개의 대지형구로 이루어져 있다. 빙하로 덮인 히말라야 산맥, 갠지스 강과 인더스 강 상류에 형성된 힌두스탄 평야, 건조지대인 타르사막, 반건조지대엔 데칸 고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시아 대륙의 남단에 위치하면서 세계의 지붕 히말라야 산맥과 인도양에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인도는 전체적으로 몬순기후이다. 언어는 흰두어와 영어를 사용하며 종교는 80% 이상이 힌두교, 그 외에 이슬람교, 기독교, 시크교, 불교등이 있다.
인도는 아직까지도 계급사회가 조금 남아있다. 카스트 제도라고 불리는 계급제도는 브라만, 크샤트리아, 바애사, 수드라 등 네 개의 계급으로 나누어져 있다. 교육 정도난 생활수준이 점점 높아져 계급재도가 예전만큼은 아니지만 여전히 카스트 제도는 사회적으로 전반에 걸쳐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고 한다.
인도 사회는 카스트, 민족, 종교 측면에서 구성요소가 아주 다양하다. 중국 다음으로 세계 두 번째로 많은 인구를 보유하고 있고, 많은 인종, 언어 종교가 공존하고 있어 다민족 사회, 다민족 국가라 할 수 있다.
그럼 이렇게 다양한 문화를 가진 인도 전통의상에 대해 알아보자.
인도는 모든 전통이 종교에 깊이 뿌리를 두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예술적인 전통 음악, 관습, 춤, 축제와 그에 관련된 의상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여성에게 가장 인기 있는 의상은 사리이며, 지방에 따라 착용법이 다양하고 한 때는 이 사리가 카스트를 표시하기도 했다고 한다. 사리는 천으로 면, 모슬린, 실크 또는 나일론 등과 같은 다양한 직물로 만들며 경우에 따라서 형태가 아주 단순하거나 매우 정교하다고 한다.
사리는 초리라고 불리는 반소매 또는 소매 없는 타이트한 보디스 위에 입으며 발목까지 오는 긴 페티코트를 착용하고 허리 부분을 끈으로 졸라맨다. 사리는 테두리와 끝자락은 대개 실생활과 관계있는 무늬로 코끼리, 연꽃, 망고, 물소, 공작 등과 여러 가지 나무 형태가 무늬로 사용된다. 가장 정교한 무늬는 금으로 만들기도 한다. 신부는 매우 정교하게 만든 빨간색 사리를 착용하며, 길이가 긴 붉은 천을 머리 위에 늘어뜨리고 보석으로 만든 장신구를 사용하여 아주 화려하게 치장한다.
사리와 함께 착용하는 장신구로는 귀걸이, 목걸이, 코걸이 반지 등이 있는데 이들은 장신구를 지니는 것이 중요한 재산 보유 방법의 하나라고 한다. 코걸이를 다는 것은 힌두교 관습이며 이마에 빨간 점을 찍는 것은 샌디라고 하는데 지방에 따라 빈디, 쿰쿰 등 다르게 불린다. 이 샌디는 인도에서는 행복의 상징으로 여긴다. 손과 발에는 헤나에서 채취한 염료로 문양을 화려하게 그려 넣는다.
도티를 기본으로 하는 남성 의상은 면이나 실크 천에 테두리가 있거나 없이 무늬가 들어간 것이고 지역에 따라 착용방법이 아주 다양하며 신체 아랫부분을 감거나 맨다. 일할 때는 다리 사이로 잡아당겨 느슨한 바지로 맨다. 도티 이외에도 쥬디다르라는 하의를 입고 헐렁한 튜닉으로 상체를 덮거나 두 파 타라는 길이가 긴 상의로 어깨와 가슴을 두른다.
대부분의 남성과 여성은 맨발이거나 트인 샌들은 신었다.
인도 민속 의상은 남부, 라자스탄, 마니푸리, 펀잡, 시크 지방을 중심으로 알아보자.
먼저 남부의상의 특징이다. 여성 의상인 사리는 등에 주름을 잡는 쿠르기 스타일로 착용하는 것이 남부 스타일이다. 남성은 흰색의 도티를 하의로 입고, 그 위에 헐렁한 튜닉을 착용하였다.
라자스탄의 의상을 알아보자. 남녀 모두 풍성한 형태의 의상을 착용하는 스타일이 바로 라자스탄 스타일이다.
여성은 주름이 많은 가그라라는 매우 풍성한 스커트를 쵸리와 함께 착용하였고, 남성은 긴소매의 재킷에 딱 맞는 바지를 착용하였고 헤드드레스로는 전통적인 작업모를 썼다.
남부 마니푸리 의상을 알아보자. 남부 마니푸리의 대표적인 의상은 무용수들의 의상이다. 진한 녹색 또는 주황색의 치마는 빳빳하게 수를 놓아 장식되어 있으며, 화려하게 아주 작은 거울들이 부착되어 있다. 치마 위에는 아주 얇은 은사 직물로 만든 짧은 스커트를 덧입었는데 가장자리에는 테두리가 둘러져 있다. 상의로는 화려한 쵸리를 입고, 독특한 머리 장식을 하며 얇은 천의 베일을 썼다. 화려한 벨트와 보석으로 치장하는 스타일이 이 마니푸리의 스타일이다.
북부의 펀잡 스타일에 알아보자. 여성은 몸에 핏 한 사르와르와 튜닉을 입고, 머리에는 오드니라는 헤드드레스를 두른다. 유색의 튜닉 바지를 착용하기도 하는데 사리 대신 착용하며 주로 회교도들이 착용한다. 터번을 두르기도 하는데 터번은 주로 진한 오렌지색이나 붉은색 계열의 긴 천을 다양한 방법으로 머리에 둘러서 풍성하고 커다란 형태가 만들어지게 한다. 남성은 유색의 도티 위에 흰색 셔츠를 입으며, 검은색의 소매 없는 베스트를 입기도 하고 터번을 두른다.
마지막으로 시크 지방이다. 남성은 타이트한 핏의 흰색 바지 또는 쥬디다르와 쉬르와니(목에서부터 허리선까지 단추가 달린 재킷)를 착용한다. 이 쪽지방의 종교적 관습에 따라 머리를 자르지 않기 때문에 터번을 착용하며, 터번으로 머리 전체를 감싼다. 이슬람교도 남자들은 둥근 모자를 착용하며, 특별한 경우에 어린 소년들은 끈과 구슬로 장식한 벨벳 모자를 쓰기도 한다.
이렇게 인도 전통의상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매번 느끼는 점이지만 종교에 따라, 지역에 따라 의상의 특징이 달라지는 것이 너무 신기한 것 같다.
다음 포스팅에서도 여러 나라의 민속의상, 전통의상에 대해 알아보겠다.
'세계전통의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바논 전통의상 알아보기 (0) | 2023.02.06 |
---|---|
이란 전통의상 (0) | 2023.02.06 |
티베트(Tibet) 전통의상 알아보기 (0) | 2023.01.29 |
중국전통의상 알아보기 (1) | 2023.01.25 |
일본전통의상 알아보기 (1) | 2023.0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