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일본 다음으로 알아볼 나라는 중국이다.
중국의 의상을 떠올리면 먼저 치파오가 생각이 난다. 중국은 동북아시아 대륙에 자리 잡고 있으며 한반도의 약 44배의 면적을 가지고 있다. 먼저 지리적 배경에 대하여 알아보자. 동쪽으로 북한, 북쪽으로 몽골, 러시아, 카자흐스탄, 키르키스스탄, 타지키스탄, 서쪽으로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인도, 네팔, 부탄, 남쪽으로 미얀마, 라오스, 베트남 등과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광활한 국토를 가진 나라이다. 국경연장은 약 20,000km에 달하며, 해안선 길이는 약 11,000km이라고 한다.
세계 육지 면적의 15분의 1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중국은 러시아, 캐나다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넓은 국토를 가지고 있으며 지형은 네 개의 계단으로 나누어지고 있다. 제일 높은 곳에 있는 세계의 지붕이라고 불리는 청장고원은 평균 해발고도가 4,000 km 이상이다. 또 한 최고 높은 에베레스트산이 중국과 네팔 국경에 위치하고 있다.
중국은 크게 두 개의 지역으로 나눌 수 있는데 북중국은 거대한 평야 지대로 밀, 보리, 수수, 대두 면화 등의 재배에 적합하고 석탄과 철광석이 풍부하다. 남중국은 양쯔강이 가로지르는 구릉성 지형으로 덥고 습한 기후여서 벼농사에 적합하다.
기후는 워낙 넓은 지역이라 각 지역에 따라 다 다른데 한여름을 제외하고는 모든 기후대가 통과하며 화북, 화중지구는 온대 몬순 기후이고, 화남지구는 아열대성 몬순기후, 동북 지구는 대륙성 기후이다.
중국인들은 우리나라와 다르게 각각의 고유문화와 생활 습관을 소유하고 있는 약 56개의 민족으로 이루어진 다민족 국가이다. 제일 많은 한족은 94%, 소수민족은 6%정도 차지하고 있으며 전 영토의 반 이상 자치구를 소유하고 있다. 소수 민족 중에서 비교적 인고가 많은 민족은 좡족, 후이족, 위구르족, 티베트족, 몽골족 등이 있다. 소수 민족이 거주하는 지역의 면적은 한족과 혼합하여 거주하는 지역을 포함하면 반 정도가 되지만, 인구가 집중되어 있는 동부에서는 대다수 한족이 차지하고 있다. 다수를 차지하는 한족도 북쪽과 남쪽 사이에는 체격, 음식, 주거, 습관, 풍속, 사용하는 언어 등에서 큰 차이가 있다. 언어 중에는 중국 전체에서 한족 외 후이족, 만주족, 쇼족이 사용할 뿐 나머지 소수민족은 각자의 독자적인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워낙 한족의 인구가 많기 때문에 다수가 쓰는 한어가 중국의 공용어이다. 분포 범위가 워낙 넓고 방언의 종류도 다양하여 한족 사이에서도 지역에 따라서는 대화를 원활하게 하기 힘든 경우도 있다. 중국인들은 공식적으로는 무신론자이지만 그들 내에서는 도교, 불교, 유교가 뿌리 깊이 박혀있다.
본격적으로 중국의 전통 의상에 대하여 알아보자. 고대 중국에는 여러 종류의 의복이 있었고, 현재의 의상은 청나라 때의 것이며 서구의 영향을 어느 정도 받았다고 한다. 특히 청·일 전쟁 후 여성의 의상은 다트를 사용하여 몸에 꼭 맞는 형태로 만들어졌으며 무릎길이의 옷과 짧은 소매가 새로 생겼다. 중국 전통 의상의 기본적인 특색은 옷깃 모양, 상의의 트임, 치마 양쪽 단의 슬릿 등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이 모두가 유행에 따라 높이, 길이 등이 변한다. 중국은 광활한 지리적 환경과 민족 구성으로 인해 소수 민족의 복식이 다양하며 각 민족의 풍습과 기후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먼저 한족의 의상을 알아보자. 중국 전체의 골고루 거주하는 한족의 전통 의상은 중국의 소수 민족 복식에 영향을 주었다고 한다. 기본 상의와 바지, 상의와 스커트, 원피스로 구성되어있다. 여성 의상은 시대가 변하면서 스타일도 여유 있는 형태에서 몸에 핏되는 스타일로 변하고 기포와 짧은 상의에도 주름 스커트로 구성된다. 남성 의상은 공산정부가 들어선 후 바지와 재킷을 기본으로 한다.
남부지방의 소수민족 토족, 먀오족, 요족의 의상에 대하여 알아보자. 토족은 상의 소매 부분이 붉은색, 흰색, 녹색으로 배색된 검은색의 재킷을 입는다. 하의로는 푸른색의 여유가 있는 바지를 입고 허리에는 밝은 녹색과 푸른색의 새시를 교차시켜 두르며 자수 장식 밴드가 둘러싸인 모자를 쓴다.
먀오족은 바지 위에 검은색 짧은 스커트, 갈색이나 유색의 재킷, 줄무늬 새시를 착용한다. 여성들은 무릎에서 발목까지 오는 꼭 맞는 각반을 착용함으로써 다른 민족의 여성들과 구별하기도 한다. 마오족의 의상 중 특징적인 것은 은으로 된 거대하고 화려한 머리 장식과 가슴 장식이다.
요족의 의상은 엉덩이 길이의 검은색 재킷이나 양옆이 트인 튜닉을 착용한다. 검고 뾰족한 모자를 쓰며 재킷 앞의 아랫부분에는 은으로 만든 배지가 달려있다. 소재는 면을 사용하였고, 자수와 끈 장식이 십자수 형태를 이루었다.
북부지방의 몽골족의 의상에 대하여 알아보자. 몽골족의 의상은 지형뿐만 아니라 생활방식까지도 반영하였다. 의상은 단순하며 승마에 적합하도록 디자인되어 있는데, 남녀 모두 유사한 디자인의 의상을 착용하고 모직을 주로 사용하였다. 진한 푸른색이나 붉은색 코트인 델즈는 유색의 새시를 허리에 매고 단과 목 부분은 대조되는 색상의 밴드로 장식하였다. 춤출 때나 여름철 그리고 특별한 경우에는 밝은 유색의 면이나 실크로 만들어진 코트에 바지를 입었으며 챙이 있는 펠트모를 쓴다.
이렇게 중국의 한족을 비롯하여 다양한 소수민족의 전통 의상까지 알아보았다. 중국은 다민족 국가답게 민속 의상도 여러 가지가 있어서 흥미로웠던 것 같다.
'세계전통의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란 전통의상 (0) | 2023.02.06 |
---|---|
인도 전통의상 (1) | 2023.01.30 |
티베트(Tibet) 전통의상 알아보기 (0) | 2023.01.29 |
일본전통의상 알아보기 (1) | 2023.01.24 |
대한민국 전통의상 알아보기 (0) | 2023.01.24 |
댓글